급여는 왜 한 달에 한번 월급으로 받을까요
급여는 왜 월급으로 받을까?
매월 10일 25일 날 많은 이들이 월급날인데요. 직장생활자라면 보통 한 달에 한 법 월급을 받지요. 노동력을
제고하고 월급을 받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라 그 누구도 월급 체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죠.
다른 나라에서는 주 단위로 급여를 받는 경우도 있답니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노동의 대가는 한 달에 한 번씩 정산되는 걸까요. 미국의 경우 주를 기준으로 급여를 산정해요. 대부분 2주 기준으로 급여를 받고 실업급여도 마찬가지로 주를 기준으로 지급하죠 노동력을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일인데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요?
고려나 조선시대에도 월급을 받았을까?
임오군란(1882) 당시의 기록을 보면 고종이 개화 정책을 펼치면서 구식 군인들을 차별했고 무엇보다 1년 넘게 급여를 받지 못하면서 이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죠. 그러다 한 달 치 급여를 먼저 받았는데 관리의 농간으로
모래 섞인 궂은 쌀이나 냄새나는 썩은 쌀을 지급해서 민란이 일어났던 것이에요. 관련 기록을 보면 급여는 월급으로 받았어요. 여러 달째 한 달 치로 급여를 표현하고 있고 고종실록을 보면 13개월분의 급료를 받지 못했다고 쓰여 있어요. 훨씬 오래된 기록을 찾아봐도 내용은 비슷해요.
삼국사기를 보면 경덕왕이 3월에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리에게 매달 주던 녹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주었다.라는 기록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녹봉은 월급입니다. 삼국시대부터 급여생활자들은 월급을 받았던 것입니다.
과거에는 대부분 농사를 지어 생활했기 때문에 월급쟁이가 별로 없을뿐더러 쌀이나 면포 같은 것이 화폐를 대신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가 되거나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을 때는 매번 월 단위로 받은 거죠.
화이트칼라는 월급 블루칼라는 일당
현대사회로 접어들며 회사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직장생활자가 늘었지만 모든 노동자가 월급을 받았던 것은 아니에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월급을 받는 계층은 주로 화이트칼라였고 블루칼라는 시급제가 일반적이었고 5년 정도 일을 해야 월급을 받을 수 있었어요.
1990년대 중반 월급제는 생산직 노동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화두였어요. 월급제를 요구하며 분실자살 하는 노동자가 있을 만큼 생산직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월급제로의 전환이 중요한 문제였어요. 이후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 지도는 크게 바뀌었어요. 근무한 기간에 따라 임금은 물론 직급도 올라가는 연공서열제가 아닌 능력에 따른 연봉제가 도입되었고 비정규직이 등장했죠. 월급과 급여에 대한 논의들은 다른 형태로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요. 대한민국 경 제을 이끌어가는 근로자들을 생각하며 월급의 역사를 돌아보며 우리 주머니를 따뜻하게 만들 변화가 계속되길 바랍니다.